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protein
- dtw
- transmembrane
- 파이몰
- 생물정보학
- portaudio
- PyMOL
- python
- 소리분석
- overflowed
- imgaemagick
- bioinformatics
- python3
- in planta
- 리간드
- 3차원구조
- ab initio
- librosa
- 분비단백질
- venn
- purification
- 파이썬3
- 파이썬
- python2
- R
- pyaudio
- perl
- RMSD
- 프로그램
- 단백질
- Today
- Total
목록bioinformatics (3)
박사면뭐해

Modeller 10.1은 PDB 파일을 바탕으로 3차원 단백질 구조를 모델링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예제로 하나의 template(PDB 파일)으로 Trichomonas vaginalis의 lactate dehydrogenase를 모델링해봅시다. T. vaginalis의 유전체 서열에서 새로운 lactate dehydrogenase 유전자(TvLDH)가 발견되었다고 합시다. 이 유전자의 단백질은 같은 종 안에서 다른 LDH 단백질들 보다 malate dehydrogenase(TvMDH)와 매우 높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TvLDH가 수렴 진화(convergent evolution)를 통해서 TvMDH에서 유래되었다고 가설을 세울 수 있습니다. 구조적 차원에서 서열 연구와 부위 특이적 ..
DESeq2는 R의 Bioconductor 패키지로 유전자의 차등발현 분석을 위한 툴입니다. DESeq2는 유전자와 같은 유전체의 특정 부분에 mapping 된 read count matrix를 input으로 받습니다. StringTie는 DESeq2의 input을 만들기 위해 파이썬 코드 prepDE.py를 제공합니다. (파이썬2: prepDE.py; 파이썬3: prepDE.py3) prepDE.py를 사용하면 (-e 매개변수(parameter)를 사용한) StringTie의 결과 파일(GTF/GFF)에서 직접 read count 정보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StringTie 결과 파일들을 아래와 같이 목록 형태의 텍스트 파일(sample_lst.txt)로 만들어야 합니다...
단백질 서열 alingment 할 때 사용함 특징 * BLAST 보다 100x-1,000x 빠르게 단백질과 번역된 DNA의 pairwise alignment 가능 * Long read 분석할 때 frame shift alignment 가능 * 컴퓨터 리소스를 적게 사용하므로 일반 데스크톱과 노트북에서 작동 가능 * BLAST pairwise, Tabular, XML 등 다양한 output format 제공 운영체제(OS) 리눅스(Linux) 분석 내용 서열 분석(Sequence analysis) 분석 자료 단백질(Protein) 분석 유형 서열 정렬 분석(Sequence alignment analysis) 툴 유형 커맨드라인(Command-line) 웹사이트 uni-tuebingen.de/fakultae..